데이터통신

[데이터통신# 1] 메시지(패킷, 프레임), 계층

우당탕탕코딩일기 2023. 4. 4. 22:17

 

OSI 계층

: OSI 7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반면, TCP/IP 개념 레이어는 4단계로 나눈다. 

이더넷, IP, TCP/UDP, HTTP 같은 것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프로토콜

해석하면 외교적 의례, 통신을 위한 약속이다. 따라서 통신을 위해 필요한 약속이다. 물리적 형태로는 전송매체, 단자, 신호, 회선 규격 등이 있고, 논리적 형태로는 메시지 구성, 필드의 구성, 전송 절차 등이 있다.

운영 체제 내에서 SW 또는 HW로 존재한다.

 

인터넷 프로토콜

- HTTPS, HTTP, TCP, IP, SMTP, SSH, SSL

 

프로토콜 스위트

-HTTP+TCP+IP+ARP

 

계층별 메시지  + 헤더

Router :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 신호를 구분할 줄 알기 때문에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스위치 네트워크 회선과 서버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스위치는 내부 네트워크 간 통신만 가능하다. 그래서 Router 가 필요하다.

MAC 주소를 이용하여 스위칭(Switching)을 하는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는 L2 스위치, 즉, 스위치이고,

IP 주소를 이용하여 스위칭(Switching)을 하는 3계층(네트워크 계층)의 장비는 L3 스위치, 즉, 라우터이다

 

Host : Computer + Network 로 네트워크가 가능한 컴퓨터를 의미한다. Host 가 Data를 송신할 때 정보를 포장하는 과정인 캡슐화( Encapsulation ) 을 필요로 한다. 반면, Data 를 수신할 때는 반대로 정보를 풀어헤치는 Decapsulation 을 필요로 한다.

캡슐화된 정보는 Router 를 거치고 거쳐서 수신자에에 전달된다. 

 

 

디지털 통신과 아날로그 통신과의 관계

패킷은 L3 의 전송 단위이다. 패킷은 0,1 비트로 이루어져있다. 이것은 패킷이 디지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 전송은 아날로그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물리계층으로 유선, 무선의 방법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디지털통신과 아날로그 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