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컴퓨터네트워크] FTP, SMTP 프로토콜

우당탕탕코딩일기 2023. 10. 2. 11:48

 

응용계층 프로토콜에는 ftp, smtp, sip, pop3, imap, snmp 등이 있다.

 

 

 

FTP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SMTP 는 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sip 는 화상회의할 때 쓰이는 프로토콜이다.

pop3 는 메일 서버가 있고 스마트폰에서 이메일을 다운받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imap 도 메일 서버에서 스마트폰, PC 에서 다운받는 메일을 전송받는 프로토콜이다.

snmp 는 망관리 프로토콜이다.

 

 

 

가장 많이 쓰고 있고 현재는 http 로 조금은 바뀌어져 있는

FTP 를 먼저 살펴보자

 

FTP


FTP 는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ftp 명령어를 치고 ftp 서버에 접속하면 로그인하는 절차가 있고, 여기 서버에선 익명으로 접근을 시켜준다.

여기서 cd, get 명령어를 아스키코드로 전송해서 파일을 전송하게끔하는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이 처음 개발됐을 때는 이렇게 파일을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ftp 프로토콜로 많이 전송했었다.

물론 현재는 UI 자체가 웹 환경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파일 전송 역시 http 로 대체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가 메일을 보낼 때 메일을 전송하고, 메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메일 전송 프로토콜에는 SMTP 가 있고 메일 접근 프로토콜에는 POP3, IMAP, HTTP 가 있다.

메일을 보낼 땐 이 두가지 모두 필요하다.

 

 

메일 전송 프로토콜


 

 

 

SMTP : 메일 전송 프로토콜

첫번째는 smtp 로 서버들 간에 전송을 하게 되는 프로토콜이다.

내가 네이버에 메일 계정을 갖고 있고, 상대는 구글 메일 계정을 갖고 있다면 메일 전송 시 서버 통신이 필요하게 된다. 이 서버간 통신 규약이 smtp 이다.

 

 

메일 서버는 네이버, 다음, 지메일 등이 있다. 

SMTP 는 우리가 쉽게 접근하기엔 어려운데, 일부 서버가 암호화 되어있지 않은 버전에선 telnet 실습이 가능하다.

 


메일 접근 프로토콜


우리는 메일 파일을 스마트폰으로 접속해서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이 메일 서버에 접속해서 파일을 다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이 POP3 혹은 IMAP 이다.

 

최근에는 핸드폰에서 메일 앱을 깔지 않아도 웹으로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HTTP 도 메일 서버에 접근하는 프로토콜로 활용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메일 서버에 전송하는 프로토콜이 SMTP / 스마트폰이 네이버 또는 지메일 서버에 접속하여 메일을 다운받기, 전송하기 프로토콜 => POP3/ IMAP 

 

 

SMTP 프로토콜 자체는 전송하는 기능이 있지만, 전송할 때 메일이 어떻게 생겼다 규정하는 메시지 폼에 대한 약속이 필요하다.

메일에서는 헤더, 바디 와 같은 구조로 약속이 되어있고, 우리가 사용하는 편지지, 편지봉투와 비슷하다고 여기면 된다.

편지지는 바디고 편지봉투는 헤더이다.

 

바디에는 메일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려줘야한다. 유니코드인지 아스키코드로 되어있는지 같은 것들 말이다.

우리가 서버에 스마트폰에 있는 메일 앱, PC 의 아웃룩 같은 것으로 메일을 다운받고 전송하는 것을 실행하려면 POP 또는 IMAP 을 통해 메일 파일에 접근한다고 했었다. (물론 HTTP 를 통해 브라우저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 )

 

이때 

IMAP 을 통해서는 메일 서버 인증, 메일 서버에서 관리, 메일 서버 폴더 관리를 하고

POP 를 통해 메일 서버 인증, 메일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웹 기반이 많아서 HTTP 를 이용하는 게 대세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