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리율 (Throughput)
- 컴퓨터 통신 : A->B로 전송하는 단위 시간당 디지털 전송율 ( ex) bit rate( bit per second : bps))
- 컴퓨터 일반 : 단위 시간당 작업 처리량
대역폭 (Bandwidth)
네트워크 대역폭은 네트워크가 단위 시간 내 전달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전달 용량을 의미. 대역폭이 높을수록 많은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실려서 전달하고 전달받을 수 있다. 대역폭 자체는 전달 속도와는 관계가 없으며 오히려 용량(capacity)과 관계가 있다.
Bit rate
- 얼마나 빨리 비트를 보낼 수 있을까? 의 문제
- 대역폭(Hz) 이 주어지고 신호레벨(0/1) L이 주어질 때
BitRate = 2* 대역폭 * log_2(L)
ex) 3000 Hz 에서 신호(0/1) 을 이용한다면 최대 전송율 은?
bitrate= 2* 3000 * log_2(2) = 6000bps
ex) 신호대잡음비(SNR) 가 1023 으로 주어진다면?
Capacity = 대역폭* log_2(1+SNR)
Capacity = 대역폭 * log_2(1+1023) = 3000 * 10 = 30,000 bps
ex) 10Mpbs 대역폭이 주어질 때, 컴퓨터가 1개 프레임은 10,000 bit , 1분에 12,000 개 프레임 전송한다면 얼마나 빠른 것인가 ?
Bitrate = 10,000 * 12,000 / 60 = 2Mbps
* 네트워크 카드는 10Mbps(최대) 인데 컴퓨터는 2Mbps 밖에 사용 못하는 상황이므로, 프레임 전송 SW 문제
ex) 100p 책을 1초에 받고 싶어요. 얼마나 빨라야 하지요? (단위를 비트 전송률로 표현 )
100p * 24(줄/페이지) * 80 (문자/줄) * 8(비트/문자) - 1.536 Mbps
ex) 사람 목소리를 디지털로 표현하려면 1초에 몇 비트가 전송되어야 하나요?
2 * 4000(샘플링/초) * 8(비트/샘플) = 64 Kbps
ex) 디지털 TV는 1초에 몇 비트를 보내주는 걸까>
1920*1080*30(프레임/1초) * 24(비트 for color) = 1.5Gbps
통신 지연시간
설명 | 예 | |
전송시간 | 1개의 비트가 컴퓨터에서 전송되는 시간 | - 1Kbps 네트워크 카드 -> 1/Kbps - 1비트 전송시 0.001초 걸림 |
전파시간 |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 거리에 따른 시간 | - 구리선에서 1비트가 1초에 2*10^8 meter 속도로 이동 - 1000 Km 떨어진 두 컴퓨터 사이 1비트 이동시간 - 거리/속도 = 1000Km / 2*10^8 meter / s = 5 ms |
큐잉시간 | 컴퓨터의 네트워크 카드 + CPU (NPU) | - 컴퓨터 또는 라우터 에서 처리되기 까지 기다리는 지연시간 |
처리시간 | 컴퓨터의 네트워크 카드 + CPU (NPU) | - 패킷 헤더 또는 경로 테이블 찾는 시간 |
지연 시간 테스트를 위해 ping, traceroute / tracert 명령어를 사용한다. Ping은 목적지까지 도착 시간을 알 수 있지만, Tracert는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시간 및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웹브라우저에서 지연시간 측정하기
데시벨 , dB (Decibel)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통신 #4_2] ASCll 코드 NRZ 로 전송하기 (0) | 2023.04.17 |
---|---|
[데이터통신 #5_2] cable (0) | 2023.04.17 |
[데이터통신 #6] switching (0) | 2023.04.17 |
[데이터통신 #5_1] mux (0) | 2023.04.10 |
[데이터통신 #4_1] 라인코딩 통신 기술 (0) | 2023.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