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실습 진행을 위해 도커를 설치해야한다.
도커는 컨테이너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컨테이너 플랫폼이다
컨테이너란 한 운영체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개별적으로 실행하고 관리하도록 도와주는 기술 중 하나다
컨테이너 안에는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이를 위한 라이브러리, 환경설정 등이 들어있어서 컨테이너만 잘 받아오면 누구든 따로 실행 환경을 셋팅할 필요 없이 바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컨테이너에는 백엔드 프로그램, DB서버, 메시지 큐 등 어떠한 프로그램도 추상화되어 들어있을 수 있고, 어떤 환경에서든 컨테이너만 받아 오면 프로그램의 배포 및 관리가 쉬워진다.
우리는 웹 서버를 구축하고 싶다. 만약 도커가 없다면 직접 아파치, nginx 등을 설치해서 웹 페이지를 올려야한다. 도커를 사용하면 우리가 사용하고 싶은 환경 설정을 격리된 컨테이너 안에서 함으로써 환경이 나중에 어지럽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웹 서버는 아파치, nginx 같은 것이 있다. 웹 서버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http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사이의 중간다리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아무튼 도커를 설치해보자
https://docs.docker.com/desktop/install/mac-install/
Install Docker Desktop on Mac
Install Docker for Mac to get started. This guide covers system requirements, where to download, and instructions on how to install and update.
docs.docker.com
해당 사이트에서 도커를 설치할 수 있다. 나는 맥북이므로 맥용으로 설치하였다.
그 후,
웹 서버 구축을 위해 nginx 를 설치해야 한다.
docker pull nginx
를 입력하면 된다는데 나는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떴다
찾아보니 맥북에서 나는 에러로 도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후 명령어를 입력해야한다고 한다.
도커 어플리케이션에 켠 후 다시 명령어를 입력하니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
dokcer image ls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구동되고 있는 image 를 볼 수 있다.
docker run --name comnet-nginx -p 8080:80 -d nginx
명령어를 통해 nginx 이미지를 가지고 comnet-nginx 라는 이름을 가진 컨테이너(-d : 컨테이너명지정) 를 새로 만들어서 8080 으로 요청시 80포트를 가지고 있는 nginx 로 연결되도록 (-p : 8080:80) 하였다.
그 후 http://localhost:8080 으로 들어간 결과 다음처럼 창이 뜬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와이어샤크를 통해 패킷 캡쳐를 진행하였다.
패킷 캡쳐시 로컬호스트 패킷은 Loopback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나에게로 다시 돌아오는 패킷)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네트워크] DNS (0) | 2023.09.25 |
---|---|
[컴퓨터네트워크] 인터넷 속도 측정 (0) | 2023.09.25 |
[컴퓨터네트워크 실습] HTTP Practice (0) | 2023.09.15 |
[네트워크] Nginx 공부 시작 / Proxy란 무엇인가 (0) | 2023.09.13 |
[L3] #1 IP Packet (0) | 2023.04.04 |